2015년 4월 25일 토요일

알약톡톡 136회, 산림치유, 산림욕, 알파파, 음이온, 피톤치드, 알면 약이 되는 운동법, 가애란, 이종석, 알약톡톡 (출처 : KBS1 알약톡톡 2015.4.26 방송)


알약톡톡 136회, 산림치유, 산림욕, 알파파, 음이온, 피톤치드, 알면 약이 되는 운동법, 가애란, 이종석, 알약톡톡 (출처 : KBS1 알약톡톡 2015.4.26 방송)

건강한 120세 ▷▷ http://healthyupto120.blogspot.kr/


알약톡톡 136회 먹고 살면서 생긴 스트레스, 당신에게 필요한건 ‘알파파’ 

피부에 느껴지는 바람은 살랑살랑 기분좋고 내리쬐는 햇빛은 따뜻한 봄입니다. 
나들이 갈 계획 다들 하나씩 세우셨을텐데요. 푸르른 나무와 새소리, 물소리가 반가운 숲으로 가보는 건 어떨까요? 
알약톡톡2, 이번 시간은 봄맞이 건강을 위한 선택 ‘산림치유’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우종민 교수와 함께 합니다. 

Q. 우리가 익히 들어 알고 있는 산림욕과 오늘 주제인 산림치유,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 
- 단순히 숲을 찾아가서 즐기는 것이 산림욕이라면 산림치유는 치유목적에 적합한 환경에서 전문가가 운영하는 알맞은 프로그램을 체험하며 치유 효과를 극대화하는 개념입니다. 

<산림치유 단어장 첫 번째 ‘음이온’> 

Q. '음이온'이란 어떤 것인가요? 
- 비오는 날이나 계곡, 폭포 주변에 가면 작은 물방울이 따갑게 부딪히는 느낌이 들면서 기분도 상쾌해지죠. 이것이 바로 음이온이 주는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이런 음이온이 도심보다 숲속에서 더 많이 방출이 된다고요? 
- 네. 대략 도심에서 500개 숲속에서 1000-2000개 이상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 그렇다면 이런 음이온은 우리 건강에 어떤 효과를 주나요? 
- 음이온은 청량감을 느끼게 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숲의 비타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산림치유 단어장 두 번째 ‘피톤치드’> 

Q. 산림치유하면 빼놓을 수 없는 단어가 바로 피톤치드인데요. 피톤치드란 무엇인가요? 
- 숲에 가면 도심에서는 나지 않는 시원한 향기가 나죠. 바로 피톤치드라는 물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피톤치드란 천연휘발성 물질로 숲에 있는 많은 곤충, 해충으로부터 나무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내뿜는 물질입니다. 

Q. 그러면 우리가 숲에 갔을 때 맡을 수 있는 그 향이 이 피톤치드 덕분이라는 건데요. 이렇게 좋은 향만 선물해주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좋은 효능들이 많다고 하는데 어떤 것들이 있나요? 
- 면역기능 활성화에 진통소염작용, 스트레스 완화까지 세 가지 이로운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첫 번째 면역기능 활성화를 보면 우리 몸에는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자연살해세포인 NK세포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세포는 우리 몸에 안 좋은 암세포나 바이러스를 죽이는 역할을 하는데요. 피톤치드가 NK세포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 진통소염효과가 있기 때문에 통증을 완화시켜줄 수 있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 수치를 낮춰줘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산림치유 단어장 세 번째 ‘알파파’> 

Q. '알파파'란 무엇인가요? 
- 뇌파를 주파수 별로 나누면 알파, 베타, 세타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알파파는 8-13Hz 내외의 주파수로 명상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등 안정적 상태일 때 증가합니다. 

Q. 심신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알려주는 수치인 것 같은데요. 그런데 이 수치가 산림치유를 받고 나면 어떤 변화를 보이는 건가요? 
- 국내 연구팀 실험 결과 알파파가 도시에서보다는 숲과 물이 있는 곳에서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 받는 직장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한 결과 알파파가 현저히 증가했습니다. 마음의 안정을 찾으면서 스트레스 또한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Q. 숲에 간 것만으로 어떻게 뇌파까지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건가요? 
- 도시생활은 빨리빨리 정신없이 돌아가죠. 그래서 심신이 과도하게 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숲에 가서 여유를 되찾으면 마음에 평온이 오면서 알파파 지수가 높아진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 하나는 주파수가 낮은 바람소리와 물소리, 새소리는 사람에게 편안함을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새소리와 물소리 같이 톤이 낮은 소리가 신체 이완 및 뇌파 변화에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Q. 산림치유가 우울증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 우울증이 있으면 당연히 약물치료를 해야합니다. 그런데 항우울제를 먹으면 덜 우울해지기는 하지만 더 행복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삶에 대한 의욕, 희망, 치료 순응도와 같은 긍정적인 심리가 강화되면 우울증 치료에도 좋습니다. 그런 의미로 우울증 환자들이 산림치유를 받은 경우 전체적인 삶의 질이 높아지고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치료 순응도 등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심리가 호전되어 우울증 치료에 좋은 영향을 끼친 것입니다. 

Q. 혈압을 조절하는데도 산림치유가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고혈압 환자의 고혈압 수치가 3mmHg 이내로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 모든 것을 통해 삶의 질이 호전됐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점입니다. 

Q 산림치유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아토피입니다. 실제로 도움이 되는 건가요? 
- 가려움증이 감소되었고 약물 복용량이 낮아지고. 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부모와 관계도 좋아지고 비타민 D 합성이 늘고,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아토피 환자의 경우 산림치유 시 몇 가지 주의해야할 것이 있습니다. 직사광선은 좋지 않으니 피해야 하고 서늘한 그늘이 있는 곳이 좋습니다. 또한 물 있는 숲이 좋습니다. 그리고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다면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Q. 치유하기 좋은 숲 조건이 있다면요? 
- 새소리, 물소리 등이 잘 들리는 곳, 피톤치드가 풍부한 곳, 시각적으로 녹색이 풍부한 곳 그러면서 나무가 너무 빽빽하지 않고 적당히 개방된 곳, 바람이 잘 느껴지는 곳이 좋습니다. 스트레스가 심한 분들은 이왕이면 경사도 있고 활동량이 많은 숲이 좋습니다. 역동적 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몸이 아픈 분들은 경사가 완만하고 맨발걷기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한 길이 좋겠습니다. 

Q 숲에 갔을 때 하면 좋은 행동이 있다면요? 
-두 가지 행동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호흡입니다. 호흡은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입을 숨을 내뱉는 것입니다. 호흡을 크게 하는 것이죠. 이것을 통해 숲의 공기를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한 가지는 숲에 누워서 나무를 보거나 나무를 껴안고 숲을 느끼는 것입니다. 이런 행동은 우리가 평소 숲에서 느끼던 느낌과는 다른 느낌을 줄 것이고 이를 통해 알파파가 증가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코너) 알면 약이 되는 운동법, '알약튼튼' 

알면 약이 되는 토크토크 '가애란의 알약톡톡'의 운동 코너 '알약튼튼'. 
이번 시간에는 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운동 시간입니다. 
골반과 고관절, 무릎, 발목 등 전체적인 하체근육을 한 번에 풀어주는 스트레칭입니다. 

이종석 트레이너와 함께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